상위 Defi 대출 프로토콜 중 하나인 에이브(Aave)가 스테이블 코인인 GHO발행을 Aave DAO에 제안했습니다.
[관련 기사]
DeFi protocol Aave proposes creation of stablecoin called GHO
Aave Companies has proposed to Aave's governance forum that a new stablecoin called GHO should be created.
www.theblock.co
★해당 스테이블은 USDD, UST등의 스테이블 코인이 아닌 DAI와 같은 Defi 대출 전용 스테이블 코인임★
GHO가 출시하게 되면 Aave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에 대해 알아보자
쉬운 이해를 위해 에이브(Aave)와 더불어 상위 랜딩 프로토콜 메이커, 컴파운드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면
상위 대출 프로토콜인 Maker, Aave, Compound의 TVL
대출 프로토콜을 가장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중개자 없이도 예금과 대출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이라 보면 된다.
즉, 해당 프로토콜의 TVL은 은행에 예치되어 있는 자산이다.
자산을 예치한 사람들에게 예금이자를 지급하고, 대출을 실행한 사람들에게서 이자를 받는다는 점이 은행의 수익구조와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단, 시중은행에서의 대출은 "신용도"에 따라 대출금액이 상이하지만,
크립토 시장에서는 아직 개개인의 신용도를 측정하기가 어려워
"담보"를 기반으로 대출서비스를 지원한다.
예치된 예금자산이 많아지면 그만큼 대출을 많이 내주는 게 가능하고 그 대출이자로 수익을 챙기는 랜딩 프로토콜은
더 큰돈이 회전해야 효율이 극대화되지만 그만큼 자본의 안전성에도 신경을 더 써야 될 수 밖에 없게 된다.
(랜딩 프로토콜은 당연 Defi가 부흥하기 시작한 2020년 ~ 2021년 사이 엄청난 성장을 보여주었다,
담보로 일정 금액을 예치하고 상대적으로 큰 금액을 대출받아 레버리지 파밍이 가능하기때문)
랜딩 프로토콜 시가총액 순위
근소한 차이로 에이브가 1위, 메이커가 2위, 상대적으로 낮은 시가총액의 컴파운드
TVL은 메이커 / 에이브 / 컴파운드 순이였는데, 시가총액은 에이브가 근소하게나마 높은 모습
그 이유는 각각의 프로토콜을 성격을 보면 파악 가능한데,
비트겟 거래소 AAVE/USDT 4H 차트
Aave
유일하게 스테이킹이 존재하는 랜딩 프로토콜
메이커의 DAI와 같은 시스템의 스테이블 코인 GHO 출시를 제단에서 제안했으며, 현재 DAO에서 투표 중이다.
근데 사실 말이 투표지 저런 큰 제안을 했을때는 이미 될거라 생각하고 미리 개발도 거의 다 해놓는다.
에이브도 메이커처럼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면 예금이자 지불에서 한층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프로토콜의 수익, 안전성 두 가지를 잡을 수 있을 거라 보인다.
에이브의 최근 1년 매출액은 $40.9m 순이익률은 약 15%이다.
에이브의 특징은 에이브노믹스 라는 내장된 보험 메커니즘으로 타 프로토콜에 비해 안전성이 보장되며,
메이커는 거버넌스에 의한 금리 결정, 컴파운드는 실시간 변동되는 금리가 적용되는 반면
에이브는 금리가 오를거같다면 고정금리로, 금리가 내려갈거같다면 변동금리(실시간 적용)로
좀 더 유연하게 자신에게 유리한 금리 설정이 가능하다.
비트겟 거래소 MKR/USDT 4H 차트
Maker
현재 이미 DAI라는 스테이블 코인이 존재하는 랜딩 프로토콜
특징으로 메이커는 고객의 예치된 예금자산을 대출해주는 에이브, 컴파운드와 다르게
맡긴 담보금액만큼 DAI를 발행해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따로 예금된 금액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말은 예금자들에게 이자를 지급하지 않기에 비용 부담 없이 대출이자만 받으면서 운영을 한다는 점이다.
메이커는 따로 토큰의 스테이킹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TVL은 에이브보다 낮지만 매출액은 최근 1년 $96.3m로 압도적 1위이다.
순이익률도 86%에 육박한다.
메이커는 2020년 까지만 해도 굉장히 낮은 평가를 받고 있었는데, Defi 역사상 최악의 날이라 불리는 2020년 3월에 혼자서
살아남는 저력을 보여주며 입지를 증명한 프로젝트이다.
매출액의 압도적 1위가 그 이유가 아닐까 싶다.
비트겟 거래소 COMP/USDT 4H 차트
Compound
컴파운드는 스테이블 코인도 없고, 다른 2개에 비해 TVL, MCAP 둘 다 상대적으로 뒤처지고 있다.
토큰 스테이킹은 존재하지 않으며, 매출이 COMP 토큰에 주는 직접적인 영향도 없다.
하지만 매출액은 최근 1년 $33.1m로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TVL, MCAP에 비해 높은 편인데
순이익률은 거의 0%에 가깝다.
이것은 컴파운드에서 프로토콜 사용자들에게 인센티브로 매출액만큼 COMP토큰을 지급해주기 때문
현재 시장이 루나의 여파로 인해 Defi 시장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수많은 TVL의 감소가 되었지만
이러한 좋지않은 시장에서도 자신의 굳건함을 유지한다면 해당 프로젝트들은 눈여겨 볼만하다 생각이 든다.
[비트겟 거래소 4163 USDT 증정금 보너스 레퍼럴 가입링크]
https://partner.bitget.com/bg/9ZFP0P
Better trading Better life
www.bitget.com
[가상화폐 호재 정보 공유 텔레그램 채널]
나의 크립토 일기장
가상화폐 정보 공유 업로드 (돈이 되는 모든것들) NFT / DEFI / P2E / IDO / 코인 호재소식 업로드 텔방 링크 주소 :https://t.me/traderW1 블로그 링크 주소 :https://tradingwong.tistory.com/ 문의 :@Woongbit
t.me
'가상화폐 & 금융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치루트(ALT)코인 빗썸드롭스 2번째 상품인 아치루트 프로젝트 분석 (0) | 2022.07.13 |
---|---|
알타바 코인(TAVA) 알타바NFT 패션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알아보자 (0) | 2022.07.11 |
ENS코인(이더리움네임서비스) ENS도메인 만들기 & 가치 그리고 전망은? (1) | 2022.07.08 |
바이비트 트래블룰 업비트로 입금방법 출금방법 (Feat. 초간단 트래블룰) (0) | 2022.07.07 |
세럼 락업해제 계속해서 쏟아지는 세럼 코인 락업물량 알아보자 (2)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