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3월로 예정된 이더리움 "상하이" 업그레이드
기존에 이더리움을 스테이킹하면 취소, 인출이 불가능했었는데, 이번 상하이 업그레이드를 통해
자유롭게 철회, 출금이 가능하게 된다고 한다.
이렇게 타 PoS 체인처럼 스테이킹이 자유로워지면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는 많은 기과느 재단, 프로토콜들이
보상을 얻기위해 이더리움 스테이킹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입출금이 자유로운 스테이킹을 LSD(Liquid Staking Derivatives), 유동성 스테이킹이라고 하는데
이쪽에서 가장 선두주자는 역시 Lido Dao(LDO)다.
최초의 유동성 스테이킹 공급자로써, 수수료가 가장 저렴하고 Lido에 ETH를 스테이킹하면 받을 수 있는 stETH를 통해
다른 체인에서 추가 수익을 노릴 수 있었기에 폭팔적인 인기와 함께 어마어마한 성장을 보여줬다.
그렇다면 이번 상하이 업그레이드의 최대 수혜자도 역시 Lido일까?
작년 한창 Lido에 이더리움일 몰릴때 이런 이야기가 나왔었다.
당시 스테이킹 된 총 이더리움의 32.4%가 리도에 들어왔는데, 33%가 넘어가버리면 공격의 표적이 될 수 있고,
이는 이더리움 자체가 중단될수도 있는 문제라면서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 문제를 제기했었다.
이에 비탈릭도 해당 의견에 손을 들어주며 힘이 실렸었지만, 점유율이 32.4%에서 내려가며 잠잠해졌었다.
현재 Lido의 이더리움 총 스테이킹 점유율은 29%이다.
이번 상하이 업그레이드에서 Lido의 핵심 포인트는 33%를 넘어갈 수 있을지,
33%에 근접하면 또다시 태클이 들어올지도 주요 포인트라고 생각된다.
ETH Liquid Staking TVL
Lido의 점유율이 33% 미만으로 제한될 경우 가장 큰 수혜를 입은 건 단연 같은 LSD 종목들일 거다.
Lido의 압도적인 74%의 점유율, 그리고 코인베이스 15%를 뺀 10%를 나머지 친구들끼리 나눠먹고 있다.
난 솔직히 Lido보다 이 나머지 친구들에게 더 눈길이 갔다.
왜냐하면 Lido는 앞서 말한 33%의 벽도 있겠지만, 이미 몸집이 커질 대로 커져서 먹을 게 그리 많아 보이지 않는다.
반면 Lido 바로 밑에서 받아먹으려고 입 쩍벌리고 있는 Rocket Pool(RPL)
더 밑에 점유율 1%대의 친구들이 2%가 되면? 2배 성장률이다.
이번 기회는 본인들의 프로젝트(코인)를 떡상시킬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다.
상하이 업그레이드로 이더리움 유동성이 크게 공급되던, Lido에 문제가 생기던, Lido 점유율 제한이 걸리던
아니면 재단 돈이라도 끌어서 이더리움 스테이킹 박으면서 직접 점유율을 올리거나...
어떤 이유로든 올려놓고 열심히 홍보하면 그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거다.
[ETH LSD 중 토큰이 존재하는 프로젝트들] - 점유율 순
Rocket Pool (RPL)
로켓풀은 리도에 이어 두 번쨰로 큰 탈중앙화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로써, 토큰은 시총 73위 RPL이다.
현재 거버넌스 기능만 존재하는 LDO와 달리 RPL은 사용자를 위한 보험기능이 추가로 존재한다.
노드 운영자는 RPL을 보험으로 스테이킹하고 운영자의 잘못으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스테이킹된 RPL을 받게 된다.
StakeWise (SWISE)
스테이크와이즈는 스테이킹 수익률이 4.43%로써 ETH LSD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제공한다.
SWISE는 거버넌스 토큰으로써, 타 프로젝트보다 토큰의 시가총액이 굉장히 저렴한 것이 특징.
Nansen의 데이터에 따르면, 스마트 머니로 식별된 지갑이 21년 4월부터 천천히 SWISE 토큰을 축척하고 있다고 한다.
Ankr(ANKR)
이 중 가장 친숙한 코인이 아닐까? 업비트에도 있는 그 앵커 코인이다.
앵커는 API 앤드포인트를 제공하고 스테이킹 솔루션, RPC 노드를 실행하는 블록체인 인프라 제공업체이다.
ANKR코인은 LDO와 마찬가지로 거버넌스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Frax Share (FXS)
FTAX는 최근 2022년 10월에 리퀴드 스테이킹을 출시하였다.
폴카닷 기반 리퀴드 스테이킹 디파이 프로토콜
SharedStake (SGTV2)
21년 3월~6월에 내부자들이 다 던지고 튄 코인이라고 함.
마무리
원래 최고의 자리로 올라가기보다, 올라오고 나서 지키는 게 더 어려운 거라 했다.
지금의 자리를 더 굳히는 Lido가 될지, 나머지 프로젝트들의 도약의 발판이 될지 지켜보자.
[코인 정보 공유 텔래그램 채널]
'가상화폐 & 금융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코인 AI와 관련된 코인들 시가총액 순으로 알아보기 (0) | 2023.01.28 |
---|---|
캐스퍼(CSPR)코인 기업전용 Layer-1(레이어1)코인을 알아보자 (0) | 2023.01.25 |
갈라(GALA)코인 상승의 이유, 지금까지의 호재들 파악해보기 (1) | 2023.01.13 |
솔라나 밈 코인 봉크(BONK)코인 제2의 도지가 솔라나에? (1) | 2023.01.10 |
솔라나(Solana)코인 상승이유, 비탈릭, 개발자, 생태계점검 (1) | 2023.01.05 |